Web/정리글
Junit Test 환경
구름뭉치
2021. 7. 12. 14:19
기본적으로 운영환경과 테스트환경은 별도로 두는것이 좋다
웹 서비스의 DB로 h2를 사용해서 구현하고 있지만 테스트시에는 h2를 이용하지 않고 메모리 DB를 이용해서 테스트를 실행할 때 로컬 메모리로 저장해서 테스트 후 종료될 때 전부 삭제되는 방식으로 구현한다
방법
springboot의 test폴더 내에 resources폴더와 하위파일로 application.yml을 생성
spring:
# datasource:
# url: jdbc:h2:mem:test //해당 url을 이용하면 메모리모드로 테스트를 돌려준다
# username: sa
# password:
# driver-class-name: org.h2.Driver
#
# jpa:
# hibernate:
# ddl-auto: create
# properties:
# hibernate:
## show_sql: true
# format_sql: true
logging.level:
org.hibernate.SQL: debug
org.hibernate.type: trace
위 내용들이 전부 주석처리되어 있는데, 사실 스프링 부트는 설정파일에 따로 설정이 없으면 default로 h2를 메모리 DB로 돌려준다. 결과적으로 따로 h2서버를 켜주지 않아도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다.
참고로 main 폴더에 있는 application.yml은 건들지 않는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