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pplication Layer - protocol stack의 가장 위에 존재한다 - 사용자가 직접 사용하는 protocol - 다양하고 시대에 따른 변화가 크다 Protocol 관점에서의 application - socket(SAP)을 통해서 Transport Layer와 소통한다 - application layer가 존재하는 end-system 끼리 소통하는 것 - socket의 건너편은 상대방 end-system socket Application Architecture - Client-Server vs. Peer-to-Peer(P2P) Process and Socekt Process end system의 OS상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 객체 - 서로 다른 Process끼리 Message를 주고 받으면..

Layer 4 Overview End-to-End data 전송을 위한 logical communication 역활 Connection-oriendted(TCP) vs. Connectionless(UDP) IP 및 PORT 번호로 식별 예시 우편을 전달한다고 할때, 건물 to 건물로 전달하는 것은 host to host로 Network Layer의 역활이고, 각 건물에서 우편을 사람 to 사람으로 전달하는 역활은 port to port로 Transport Layer의 역활이다 IP 계층에 대한 다양한 제어 동적 IP 주소 관리 IP 변환 (NAT) IP packet 흐름 제어 Transport Layer 종류 Application에 따라 두가지 프로토콜 중 한가지를 사용한다 User Datagram Pr..

Routing Control Plane Router내의 Data / Control Plane 동작 성격 (Data forwarding / routing)에 따라 기능이 나뉘어진다 Data plane IP header 분석 Datagram Forwarding Fragmentation (MTU - Maximum Transport Unit) Control plane Routing algorithm ICMP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Routing Algorithm Routing의 forwarding Table == Routing Table 입력받은 Datagram에 대한 출력 port를 정하기 위해 각 Router가 보유한 표 어디로 Datagram을 보내야하는지 적혀있는..

Layer 3 Network Layer라고도 부른다 1 : 1이 아닌 여러 구성들이 얽혀 있는 네트워크 구조에서 재역활을 하는 Layer이다 Network에서 end-to-end로 Packet을 전달해주는 역활 각 packet이 제 경로를 찾도록 해준다 Layer3 흐름 Layer3가 네트워크에서 어디로 가야할지 알려준다. 1 hop 이동 후 거기서 다시 확인, Layer 3에서 해당 패킷을 보고 자신의 것이 아니라면 목적지에 맞는 곳으로 다시 보내라고 내려준다 제대로 목적지에 도착한 경우 layer 3에서 확인 후 위 계층으로 올려준다 end에서 목적지 end까지 packet을 전달하는데, 네트워크 상에서 라우터의 layer 3에서 어디로 전달되야 하는지 알려준다, 라우터의 네트워크 계층은 네트워크 도..

OSI Layer 개념 통신 네트워크를 이루는 protocol layer의 표준형 모델 대부분의 통신 네트워크는 이러한 형태를 갖추고 있다 7 layer, 5 layer model 두가지가 있다 layer 1, 2, 3, 4는 공통 부분 L 1 (physical), L 2(link)는 보통 쌍으로 이뤄지고 시스템 별로 서로 다르다 L 3 (network) 는 IP (Internet Protocol) L 4 는 (transport) TCP / UDP Layer 1 : Physical Layer 물리 계층이라고 불린다 1 : 1 상황에서 직접적인 물리 신호를 주고 받아서 정보를 전달하는 역활 1 hop으로 연결된 상대방에게 직접 정보를 전달 1 hop이란? → A에서 C를 거쳐서 B로 간다고 하면 A에서 C..

PDU Adjustment N → N - 1 Layer mapping 을 위한 PDU 크기 조정 3가지 방식 - one to one - Multiplexing : 상위 layer의 여러 SAP을 모아서 처리 - Splitting : 하위 layer의 여러 SAP로 분배 SDU에 대한 처리 또한 구조에 맞게 이뤄진다 Multiplexing 시 필요한 protocol functions Scheduling (n → n-1) - 화장실은 한개, 줄은 여러줄일때 어느 줄부터 화장실로 보낼지 - N layer의 SAP에서 동시에 PDU를 수신시, N layer에서 어떤 SAP부터 N-1 layer로 내려보낼지 정하는 것 Assignment (n-1 → n) - (N - 1) layer에서 N layer의 어떤 SA..

Synchronization TX와 RX간 데이터를 보내고 받는 상황에 대해 서로 consensus가 이뤄지도록 하는 것 쉬고있는(idle) RX와 TX를 메시지나 데이터를 보내고 받을수 있는 상태(state)를 맞추는 event 동작 connection setup / release 에서 주로 활용 Synchronization이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연결 요청만 하고 연결이 됐다고 생각하고 데이타를 보내는 경우 데이타 손실(PDU loss)가 발생한다 RX-TX peer entity간 connection (호 연결) data를 보내기 전 connection이 맺어졌는지 여부 확인 handshaking방식을 통해 이뤄진다 (2-way, 3-way 2가지 방식 존재) 2-way TX에서 (Service P..

Protocol? 2주차 내용(구조)이 실루엣이라면 실제 생김새는 알지 못했다 실제 생김새 == protol fucntion Protocol Function 여러 protocol에서 두루 사용되는 특정 procedure / mechanism - 여기저기서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주/조연 같은 존재 예시 error control : PDU가 정상적으로 전달되지 않는 상황에서 protocol entity의 동작 flow control : enitty간 data를 주고받는 속도 및 형태를 조절 fragmentation : 위에서 받은 SDU가 너무 큰 경우 잘라서 PDU로 나눠서 보내는 것 Error Control Connection - Oriented communications protocol의 핵심 역활중 하..

protocol 및 layer architecture에 대한 모델에 대해 이해 service / entity / protocol 모델의 기본 개념 및 용어 layered architecture 특정 OSI layer 개념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7Layer) Protocol이란? Internet안에서 각 entity들이 동작하는 방식 HW / SW 간 서로 메시지를 주고받으며 상호작용을 하는 약속 entity로는 end-system, router 등을 의미 주로 주고받는 메시지 + 관련동작을 정의 "Protocol defines the format and the order of message exchanged between two or more communicating en..
통신 네트워크와 Internet에 대한 이해 Internet이란? 인터넷이란 컴퓨터로 연결하여 TCP/IP라는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해 정보를 주고받는 컴퓨터 네트워크이다 Data를 전달하는 장치들이 이루는 거대한 network(망) Application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존재 application to application으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것 자체 시초는 ARPANET으로 미국 국방부에서 군사 목적으로 만들었다. 이후 대학교등이 보유한 컴퓨터를 이용해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점점 확대 구성 여러 형태의 sub-network들로 구성되어있다 다양한 entity로 이뤄져있다 network edge : 자동차, 노트북, 휴대본 등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말단 노드(디바이스) 부..
컴퓨터 네트워크 3학년 1학기 - 신경섭 교수님 개요 sub-network 서브네트워크가 모여서 네트워크를 이룬다. 서브네트워크안에는 또다른 서브네트워크가 존재할 수 있으며, 서브네트워크 내에서는 어떤 동작들이 이뤄지고 서브 네트워크간에는 어떻게 통신 프로토콜이 이뤄지는가? End-to-end 하나의 end node에서 다른 end node로 어떻게 데이터를 전달을하고 통신이 이뤄지는가?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집합 프로토콜 프로토콜은 서로간의 약속된 규약으로, end node에서 다른 end node로 데이터가 전달되는 과정에서 서로 약속된 과정이 있어야지만 안전하게 전달이 될 수 있을것이다. 이런 프로토콜은 어떻게 구조되어있는가? 계층구조 물리계층에서 어떻게 전자파를 생성하고, 애플리케이션 계층까지 통신..
- Total
- Today
- Yesterday